성경을 읽다 보면 그 당시 유대인들의 풍습을 알지 못하면 이해하기 어려운 구절이 있는데 그것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말씀의 의미를 이해하면 성경 말씀이 더욱 가깝게 느껴지게 될 것입니다.
어느 나라던 그 나라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역사와 배경지식을 알아야 하죠. 성경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1) 끝자리에 앉아라
유대인들은 손님을 접대하는 다락방에 손님의 신분에 따라서 앉을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해 두었다. 문 옆자리에는 제일 낮은 자리가 마련되고 , 문 맞은편의 자리에는 앉아도 발이 바닥에 닿지 않을 정도로 높은 자리가 마련된다.
"청함을 받을 때에 차라리 가서 끝자리에 앉으라 그러면 너를 청한 자가 와서 너더러 벗이여 올라앉으라 하리니 그때에야 함께 앉은 모든 사람 앞에서 영광이 있으리라"(누가복음 14:10)
잔치가 열리면 하인이나 아들, 혹은 아우들이 손님을 다락방으로 안내하는 데 예의 바른 손님이라면 말석에 앉아서 대기한다. 주인이 나와서 그를 높은 자리로 안내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연장자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상석을 권하는 것이 일반적 관례였다.
2) 도장의 사용
동양권에서 도장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화된 풍습이다. 유대인들 역시 인장의 사용에 익숙하였다. 도장은 두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반지 도장이었고, 또 다른 것은 나무도장이었다.
반지도장은 권위의 상징으로 문서나 계약서에 날인할 경우에만 사용하였다. (학 2:23)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스알디엘의 아들 내 종 스룹바벨아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날에 내가 너를 세우고 너를 인장으로 삼으리니 이는 내가 너를 택하였음이니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이니라 하니라"(학개 2:23)
나무로 만들어진 도장은 우리의 경우와 달리 길이가 50cm나 그 이상이 되기도 하였다. 나무도장은 주로 시장에 나가서 곡식을 대규모로 구입할 때 사용하였다.
대금을 치른 곡식 사방에 도장을 찍어서 주인임을 확인시키고, 그래서 집으로 운반해 올 때까지 안전하게 곡식들을 보관할 수 있었다.
사도 바울이 "너희도.... 인치심을 받았으니"라고 말한 것은 바로 이것을 염두에 둔 것이다. (엡 1:13-14)
"그 안에서 너희도 진리의 말씀 곧 너희의 구원의 복음을 듣고 그 안에서 또한 믿어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을 받았으니 이는 우리 기업의 보증이 되사 그 얻으신 것을 속량 하시고 그의 영광을 찬송하게 하려 하심이라"(에베소서 1:13-14)
3) 짐을 포기 않는 짐꾼의 버릇
팔레스타인의 짐꾼들은 짐을 지면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까지 쉬는 법이 없다. 짐이 무겁고 힘들어서 도중에 쉬고 싶을 때도 좀처럼 짐을 바닥에 내려놓지 않는다.
이럴 때는 지나가는 사람을 불러서 도움을 청하게 되는데, 이 때도 도와주는 사람이 짐을 함께 짊어짐으로써 짐꾼이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끝이다.
"너희가 짐을 서로 지라"는 말씀도 이런 배경을 염두에 두고 있다.(갈 6:2)
"너희가 짐을 서로 지라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라"(갈라디아 6:2)
4) 신발은 더러운 것이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팔레스타인 지역에서는 신발을 신은 채 집안에 들어서지 않는다. 그것은 말할 수 없는 무례이기 때문이다.
신발은 걸어 다닐 때 더러운 것이 묻지 않도록 신는 것이며, 더럽기로는 개와 다를 바 없었다. 따라서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신발을 거론하는 것이 최대의 모욕이었다.
다윗이 에돔을 향해서 "내 신을 던지리라"(시 60:8 / 108:9)라고 말한 것은 에돔을 신발을 벗어두는 장소인 '마스타비'로 삼겠다는 뜻의 모욕이었다.
"모압은 나의 목욕통이라 에돔에는 나의 신발을 던지리라 블레셋아 나로 말미암아 외치라 하셨도다"(시편 60:8)
"모압은 내 목욕통이라 에돔에는 내 신발을 벗어던질지며 블레셋 위에서 내가 외치리라 하셨도다"(시편 108:9)
그러고 보면 하나님이 모세에게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라고 말씀하신 것도 충분히 의미가 담긴 말씀이라 하겠다. (출 3:5)
"하나님이 이르시되 이리로 가까이 오지 말라 네가 선 곳을 거룩한 땅이니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출애굽기 3:5)
아멘~
'재미있는 성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인들의 기이한 풍습 - 3 (2) | 2023.06.06 |
---|---|
유대인의 기이한 풍습 - 2 (2) | 2023.06.05 |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도전, 바벨탑은 어디에 있었을까? (0) | 2023.05.28 |
지구에도 배꼽이 있다? (0) | 2023.05.23 |
성경에 인용된 사라진 성경은 어디로 갔을까? (2) | 2023.05.20 |
댓글